SVN이란? 

SVN은 Subversion의 약자로, 하나의 서버에서 소스를 쉽고 유용하게 관리할 수 있게 도와주는 툴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1. 네이버 개발자센터 SVN과 이클립스 연동하기


1) 네이버에서 네이버 개발자센터를 검색한다. 네이버 개발자센터 홈이 나온다. (http://developer.naver.com/)



2) 오른쪽 하단에 [오픈 프로젝트]에서 [새 프로젝트 만들기] 선택.





3)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한다.



- 프로젝트 이름 : ProjectAKO (개발자센터에서 보여지는 프로젝트 이름)

 

- 프로젝트 아이디 : projectako (SVN URL에 포함될 Repository 이름)

  ex) https://dav.naver.com/projectako

 

- 프로젝트 공개 설명 : 오픈프로젝트라서 개발자센터 커뮤니티에 프로젝트 이름과 함께 설명이 노출된다.

 

- 코드관리시스템 : SVN (사용할 Subversion)




4) 네이버에 생성한 프로젝트 홈 화면이 뜬다.



이제 새롭게 생성한 Repository를 이용할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해야 한다. 왼쪽 상단 개발자 센터 홈 클릭!



5) 개발자 홈 화면에서 오른쪽 하단 [오픈 프로젝트]의 [My 오픈 프로젝트] 클릭!



6) 마이 페이지가 뜬다. 이번에는 왼쪽 메뉴 중 회원정보 클릭!







7) 회원정보 화면이 뜬다. 오른쪽에 코드저장소 비밀번호 설정 클릭!

(SVN Repository에 소스를 share, commit, update 하려면 계정과 비밀번호가 필요.)



8)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비밀번호는 15분 후에 적용된다.




9) 이클립스 실행. Help 메뉴에서 Eclips Marketplace를 선택한다.




10) Eclips Marketplace에서 SVN을 검색, Subclipse를 설치(Install)한다. 모두 체크 후 Confirm 선택.



Security Warning이 뜨면 그냥 OK 누르면 된다. 다 설치된 뒤 이클립스를 재부팅한다.




11) 이클립스 오른쪽 상단의 Open Perspective를 선택한다.



12) SVN Repository Exploring을 선택. OK한다. SVN Repository Exploring 창이 생긴다.



혹시 이클립스 화면을 초기화 하고 싶으면(원래대로 되돌리고 싶으면) [Window]-[Perspective]-[Reset Perspective]을 누르면 된다.





13) 이제 다시 [NAVER 개발자 센터] 홈에서 [My 오픈 프로젝트] > [내가 참여한 프로젝트]로 간 뒤 프로젝트명 클릭하자.




14) 왼쪽 메뉴 코드의 서브 메뉴 중 [코드 트리 보기] 클릭. 



오른쪽 [DAV를 통한 개발자의 Subversion 접근] 하단에 표시되는 URL 부분을 확인해둔다.

http://dev.naver.com/snv/프로젝트아이디 형태로 구성된다.




15) 이클립스의 SVN Repository Exploring 창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New]-[Repository Location]을 선택한다.

아니면 오른쪽 상단의 SUN+ 아이콘을 눌러도 된다.





16) URL을 입력하라고 나오는데, 네이버 개발자 센터 코드 트리보기에서 확인한 URL을 입력한다.






17) 다음 창에서는 자신의 네이버 아이디와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생성한 계정 패스워드를 입력하면 된다.



프로젝트 생성시 입력한 프로젝트ID가 아니라 자신의 네이버 ID라는 것에 주의!!





18) 성공하면 SVN Repository Exploring 창에서 네이버에서 생성한 SVN 계정과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SVN에 소스 올리기



1) 아래의 아이콘을 눌러 자바 패키지 익스플로러를 선택한다.



2) 패키지 익스플로러에서 프로젝트를 생성 후, 해당 프로젝트에서 마우스 우클릭-[Team]-[Share Project]를 선택한다.






3) Share Project 창이 열리면 SVN 선택.






4) 네이버에서 생성한 SVN 계정을 선택.






5) 쉐어할 폴더명을 지정 후 Finish를 누르면 된다.






6) SVN 동기화 퍼스펙티브로 변경하겠냐는 창이 뜬다. Yes 선택.






7) SVN 동기화 퍼스펙티브(Synchronizze)가 열린다.


 

프로젝트명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Team] - [Commit]을 선택한다.




8) 커밋 창이 뜨는데, 아래에서 커밋할 필요가 없는 것은 체크를 끄면 된다.





9) 네이버 개발자 센터에서 자신의 프로젝트를 선택 후 코드-커밋 로그에서 커밋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3. SVN에서 소스 가져오기



1) SVN Repository 창에서 프로젝트를 선택 후 마우스 우클릭, Checkout을 선택한다.






2) Check Out from SVN 창에서 새로 프로젝트를 생성하여 가져올지, 프로젝트 이름만 지정하여 가져올지를 선택할 수 있다.



2번째 워크스페이스에 프로젝트 명 지정 후 Finish를 선택한다.



3) 이런 창이 뜨는데 그냥 OK 하면 된다.







4) 네비게이터를 보면 SVN의 소스들을 통째로 가져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동기화


1) 소스를 수정했으면 [Team]-[Update to HEAD]를 선택하면 최신 변경 버전으로 업데이트 된다.

[Update to HEAD]는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되고, [Update to Version]은 버전을 선택하여 업데이트 할 수 있다.







5. 소스 삭제


1) 네이버 개발자 센터 SVN에 업로드한 소스를 삭제하는 방법은 동기화 뿐이다. 네비게이터상의 동기화된 자신의 프로젝트에서 삭제하고 싶은 소스를 삭제 후, 커밋, 업데이트를 하면 개발자 센터 SVN 상에서도 해당 소스들이 삭제된다.








6. 프로젝트 삭제


1) 네이버 개발자 센터 SVN에서 자신의 프로젝트를 선택 후, 프로젝트 관리에서 공개 정보 하단 [삭제] 버튼을 누르면 된다.


총 3번의 삭제 문의가 나오는데 모두 체크 후 삭제하면 프로젝트가 완전히 삭제된다.










Posted by netyhobby
,